기록/UXUI 스터디(45)
-
[기사/뉴스] CJ 온스타일, AI로 리뷰 콘텐츠 혁신
https://www.newspim.com/news/view/20250226000740 CJ온스타일, AI로 리뷰 콘텐츠 혁신...디지털 경쟁력 강화[서울=뉴스핌] 조민교 기자 = CJ온스타일은 자사의 앱 내 리뷰 콘텐츠 고도화를 위해 인공지능(AI) 기술을 적극 접목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. AI기술을 통해 고객 리뷰의 신뢰도를 높이고, 구매 결newspim.com 해당 기사에서는 커머스 도메인에서는 AI를 어떻게 활용하고, 효과를 보고 있는지에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.기사에서는 사진도 있기 때문에, 함께 보는 것을 추천한다. AI 기술로 리뷰 콘텐츠 고도화 -> 고객 만족도 향상- 지난 9월, AI리뷰 요약 기능 도입 -> 주문 전환율 평균 40.7% 상승 -> 기존 대비 2.1배 증가: AI기술을..
2025.02.26 -
[아티클] 질문이 실력이다.
https://blog.naver.com/junedec369/223512932060 [커리어노트 139] 질문이 실력이다손석희의 [질문들]이라는 새 티비 프로의 첫방에 백종원 대표가 나왔다. 공중파 티비에 나와서 손석희 앵커...blog.naver.comhttps://www.youtube.com/shorts/5qSMfuRVcPk 이번 글은 아티클과 숏츠 영상을 가져왔다.우선, 해당 아티클은 매우 정리가 잘 되어있다.그럼에도 불구하고, 스스로 다시 상기할 겸, 매우 매우 포인트만 기재했다.숏츠 영상은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, 이 아티클이 떠올라 포괄했다. 1. 질문이 사라진 시대에 질문의 중요성- 질문이 잘못됐다면 좋은 답(혹은 대화)로 이어지기 어렵다.-> 질문에 대한 질문을 할 수 있어야 한다. - ..
2024.08.04 -
[아티클] PM의 역할과 범위가 헷갈려요
https://brunch.co.kr/@kaily/60#comments PM의 역할과 범위가 헷갈려요.기업 형태별 PM의 역할과 범위 : 본인의 핏과 잘 맞는 기업 고르기 | 그동안 스타트업부터 빅테크기업, 일반 중견기업, 대기업 등에서 일해 본 경험이 있는데 각 기업마다 기획자 또는 PM으로 일brunch.co.kr PM은 어떤 일을 하는지 헷갈리는 사람들에게 아주 좋은 아티클이라 생각한다.1. 기업마다 다른 PM/기획자의 역할[중견 기업] - 서비스 기획자- 서비스 콘셉트 안/전략 문서 PPT 작성 -> 보고-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- 스토리 보드 작성- 메이커, 스택홀더와 커뮤니케이션- 프로젝트 담당- 프로젝트 일정 관리 [빅테크 기업] - PO- 전략 및 로드맵 설계- 문서 컨플을 그대로 상급자에..
2024.07.30 -
[아티클] 애플의 독특한 UX 리서치 접근법과 특징
https://brunch.co.kr/@ebprux/1437 애플의 독특한 UX 리서치 접근법과 그 특징UX 리서치 이야기 #32 | Q. "애플의 UX 리서치 방식은 어떤 특징이 있으며, 이것이 제품 개발 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설명해주세요." 요약문(애플의 독특한 UX 리서치 접근법과 그 특징) 애플의brunch.co.kr 해당 아티클을 상당히 심플한 내용을 담고 있다.하지만, 같은 말을 몇 번이나 반복되어 스크롤이 있는 글이다. 유익한 아티클인데, 불필요하게 지루감을 느끼게 돼서 정리하게 되었다.1. 애플의 독특한 UX 리서치 방식은?- 혁신과 차별화를 추구하는 접근 방식이다.- 기업은 자사의 상황과 목표에 맞는 최적의 UX 리서치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. - 전통적인 리서치 방식을 넘어선 전략이..
2024.07.21 -
[아티클] 피그마 중수와 고수를 구별하는 꿀팁 10개
https://brunch.co.kr/@sarayun/85 피그마 중수와 고수를 구별하는 꿀팁 10개hoxy 나만 모르는 기능 있어? | 피그마 좀 할 줄 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!! 실제로는 피그마를 어디까지 활용하고 있을까요? 남들은 또 어떻게 쓰고 있을까요? 나만 안 쓰고 있는 기능들이 있는 것brunch.co.kr 아주 기본적인 피그마 활용법을 다루고 있는 아티클이다.자체적으로 정리가 아주 잘 되어있기 때문에 별도의 정리하는 글은 작성하지 않고자 한다. 해당 아티클에는 피그마 활용법에 따라 중수와 고수로 나누고 있다.대체로 고수에 해당되나, 한 두개에서는 중수에 해당되기도 했다. 결과적으로 고수의 활영법 포인트는 동일하다.핸드오프를 어떻게 잘 넘길 수 있을지, 그리고 에셋 관리 및 작업 시간을 어떻..
2024.07.14 -
[아티클] 문제정의가 일머리의 90% 입니다.
https://www.redbusbagman.com/problems/ 문제정의가 일머리의 90%입니다일머리가 좋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? 일을 잘하는 동료들을 관찰해 보니 일을 할 때 한 가지 공통점이 있었습니다. 일을 할 때 문제가 무엇인지, 진짜 문제가 무엇인지 정의하고 시작하는 습www.redbusbagman.com UXUI 디자이너의 가장 중요한 역량인 문제 정의.문제 정의에 대한 내용이 잘 정리되어 있어서 한번쯤 읽는 것을 추천한다.1. 직접 사실확인하기- 검색해서 답을 찾는 것으로는 부족하다.- 간접 조사와 직접조사를 조합할 때 힘이 있다.- 사용자 경험이나 비즈니스 문제를 직접 써보고, 직접 써 본 사람을 만나는 게 필요하다.- UX리서치는 문제를 정확하게 정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...
2024.05.2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