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3. 6. 14. 02:22ㆍ기록/UXUI 스터디
🎁 7일차 주제: 소셜 내비게이션(Social Navigation)
- 소셜 내비게이션이란 안내, 설득, 참여, 사회적 존재감 등의 원리로 개인이 타인의 흔적을 따라 행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- 소셜 내비게이션을 이용해 유저의 참여도/구매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UX는?
- 다양한 도메인(커머스, 메디컬, 모빌리티, 콘텐츠, 교육, SNS 등)에서 소셜 내비게이션을 활용하는 예시
- 커뮤니티 UX를 디자인할 때 중요한 고려사항은?
- 소셜 내비게이션 오남용의 부정적 측면은?
- 기타 등등, 소셜 내비게이션에 관련된 아티클이라면 무엇이든 좋아요.
소셜 내비게이션에 대한 아티클을 찾기가 어려워, 커뮤니티 UX 디자인을 할 때 고려해야 하는 것을 정리한 아티클을 읽었다.
https://yozm.wishket.com/magazine/detail/670/
** 한국적 커뮤니티 플랫폼 설계의 UI/UX 방법론을 설명하고 있었습니다.
[목록 페이지 UI]
- 커뮤니티 플랫폼 게시판 목록 페이지는 보통 3가지를 벗어나지 않는다.
1) 게시판 List-View 스타일 (예 : 네이버 카페)
-> 본문이 길거나 내용을 예측할 수 없는 경우에 적합
2) 사진 중심 2열 feed (예: 오늘의 집)
-> 텍스트 보다 사진이 주가 되는 커뮤니티에 적합
3) 본문 중심 1열 feed (예 : 당근마켓)
-> 제목과 내용 구분 없고 1000자 이하의 단문으로 라이트한 이야기를 나누는 커뮤니티 서비스에 적합
-> 본문 자체가 길지 않으니 목록에서 본문을 2~3줄 보여주는 것만으로 내용 파악이 가능하다
-> List-View Ui를 대입하면 본문을 보기 위해 제목을 클릭하는 불필요한 클릭을 유발하게 된다
-> 목록 페이지 UI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는 콘텐츠의 성격이라는 의미이다.
[댓글창 UI]
- 댓글 표시 개수부터 방법까지 서비스 성격에 따라 Ui가 180도 달라진다
- 전통적인 게시판 레이아웃에서 게시글 수 10개는 공식처럼 여겨졌다. (1,2,5열 등 다양한 레이아웃 대응에 가장 좋은 개수)
-> 최근에는 커진 데스크탑 해상도와 4열 피드에 대응하기 위해 게시물 수를 20개씩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- Ex)
1) 네이버 카페 앱은 본문에서 10개의 댓글 노출
-> 게시물 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. 데스크탑 선 설계 후 모바일 후 설계로 하니 어느 정도 데스크탑에 종속될 수 밖에 없다
-> 처음 달린 순으로 댓글이 표시된다
2) 오늘의 집은 본문에서 5개 댓글을 노출
-> 모바일 기준으로 10개는 많다는 판단으로, 절반만 보여주기로 함
-> 데스크탑에서도 동일 개수이다. 모바일 선 설계 후 데스크압을 설게한 경우이다
-> 최신순으로 댓글이 표시된다
-> 댓글 표시 순서 차이는 두 서비스가 다루는 콘텐츠 속성에 따른 차이이다. (네이버 : 커뮤니티 중점 / 오늘의집 : 콘텐츠 중점)
[댓글 카운팅]
- Ex)
네이버 카페 앱 : 대댓글 포함해서 10개 댓글을 카운팅
오늘의집 : 대댓글 제외하고 본문 댓글만 카운팅
-> 댓글 접기 기능의 유무에 따라 이렇게 하는 이유가 있다 - 대댓글 접기 기능 미제공 : 댓글에 달린 대댓글의 개수가 무한정 늘어날 수 있어 대댓글도 카운팅에 포함
- 대댓글 접기 기능 제공 : 대댓글 표시 개수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댓글 개수만 카운팅에 포함
-> 대댓글 접기 기능 제공 유무는 소통 방식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.
[댓글에 관해 커뮤니티 서비스를 기획할 때 댓글 영역에서 정의해 줘야할 정책적 요소]
- 본문에 몇개의 댓글을 표시할 것인가
- 댓글은 오래된 순부터 표시할 것인가 최신순부터 표시할 것인가
- 댓글 카운팅에 대댓글을 포함할 것인가 아니면 제외할 것인가
- 대댓글은 일정 개수가 넘으면 접어서 표시할지 아니면 모두 다 표시할지
[작성일 표시]
- 작성 표시법은 크게 두가지가 있다
1) 오늘 작성한 글은 작성 시간을 표시(24시간 제) / 이전 글은 작성 일자를 표시
: 많은 글이 올라오고 작성 순서대로 글이 표시되는 서비스 : 작성 시간을 명시적으로 표현
2) 1분 전, 1시간 전, 1일 전 등 글 작성 일자를 특정 단위로 쪼개서 표시
: 글이 많이 올라오지 않고 알고리즘에 의한 순서로 그링 표시되는 서비스 : 글 작성 시간을 특정 단위로 쪼개서 표시
[추천과 비추천]
- 최근 커뮤니티 플랫폼의 트렌드는 추천 기능만 두는 것이다.
-> 비추천 기능이 있음으로써 반대 의견에 몰려가서 비추천을 날리고 글을 내려버리는 여론 장악이 지속될 수 있다. 지속되면 지친 유저들이 떠나가고 특정 집단의 이해 관계나 정치적 셈법에 의해 좌지우지 되는 고인물 상태가 된다. - 비추천이 도태된 건 최근 UI/UX 경향, 서비스 성격과도 연관 있다
-> 서비스 성격이 세분화/전문화 되면서 알고리즘을 통해 자연스럽게 좋은 글이 상위 노출, 그렇지 않은 글은 자연스럽게 도태되는 구조이다 보니 비추천이나 신고 기능을 넣을 필요가 없게된다.
[해당 아티클을 읽고 느낀 점]
단순하게 보고 넘어갈 수 있었던 댓글이나 비추천의 도태에 관해서 흥미로웠습니다. 특히 댓글 개수와 카운팅 또한 서비스 목적과 컨텐츠에 따라 다르게 설계하는 것을 보면서 이런 게 디테일이라는 걸 느꼈습니다. 해당 아티클은 기획자를 위해 작성된 내용이었지만 UX디자이너가 알아두면 좋은 내용이라고 생각 되었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UX디자인에는 기획이 절대 빠질 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. (기획 공부는 역시 해야만 하는 것 같아요
참여자 분들이 공유해 주신 아티클
[Social navigation 개념을 처음 제안한 글]
https://www.researchgate.net/publication/228713564_Running_out_of_space_Models_of_information_navigation
1994년 논문이었는데요, 정보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이 연결된 정보들을 어떻게 탐색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하며 시작해요. (1994년이면 마침 웹이 일반인들에게 공개된 시점이라, '하이퍼링크' 개념이 대중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한 때입니다)
공간적 내비게이션(spatial nav)에서는 '지금 위치에서 위로/아래로/밖으로' 등의 공간적 관계에 대한 개념을 씁니다.
의미적 내비게이션(semantic nav)에서는 '지금 아이템 기준으로 더 큰거/비슷한거/더 빠른거' 등 의미적 관계에 대한 개념을 씁니다.
사회적 내비게이션(social nav)에서는 '다른 사람들이 많이 선택한거' 등 사회적 관계에 대한 개념을 씁니다. 개인 홈페이지 제작자가 "내가 좋아하는 링크 모음"을 공개하고 방문자들이 그 링크를 클릭하는 것도 사회적 네비게이션의 사례로 제시한 점이 흥미로웠어요. 1994년 논문인데 협업 필터링에 대해 언급하는 점도요.
사회적 내비게이션 개념이 어떤 맥락에서 나온 말인지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!
[소셜 내비게이션에 대해서(영상)]
https://www.experiencedynamics.com/blog/2014/04/ux-power-social-navigation
소셜 내비게이션은 사용자와 참여자의 ‘co-discovery (공동 발견)’을 의미하는데, 이 소셜 내비게이션의 핵심은 정보의 공간을 이동하면서 다른 사용자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볼 수 있다는 것이라고 해요.
예시로는 페이스북의 ‘좋아요 수’, 유튜브의 ‘좋아요/싫어요’ 등이 있는데, ‘북마크’나 ‘공유’와 같은 기능이 아니라, ‘이 콘텐츠가 마음에 든다는 표시’라고 해요.
이 ‘co-discovery’의 궁극적 목표는 ‘추천 경험’을 만드는 것에 있다고 합니다. 사용자의 피드백(좋아요/싫어요 등의 피드백)을 받아 관련성 있는 콘텐츠들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찾지 않거나 인식하지 못하는 콘텐츠들을 연결해줄 수 있는 ‘접착제’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!
[사회적영향/눈치가_행동에_변화를_준다.]
{소셜 내비게이션은 타인을 의식하는 심리에서 비롯된다고 생각되어서 사회적 영향을 받는 심리 관련 아티클을 보셨다고 하셨다)
https://medium.com/user-experience-design-1/the-power-of-social-motivation-in-product-design-e35d891ce8c4
< Maslow 욕구 계층구조, Social Needs >
: 생리적 기본욕구 < 안전망 < 사회적 영향 < 존중 < 자아실현
계층 구조 3번째는 사회적 욕구로 타인의 의견이 우리의 행동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입니다. 해당 원칙은 ‘운동앱’에서 사용자들이 목표를 공유하는 것이 목표를 달성하기까지 행동을 이끌어준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.
< Festinger 사회비교이론 >
: 비슷한 배경의 사람과 자신의 의견/능력을 평가하는 것
지금 하는 UX기사읽기에서 다른 분들이 보내주신 기사들을 보면서, 나도 얼른 보내야지 초조해하면서 영향을 받는 것과 같은 심리적 영향을 예로 들 수 있을 것같네요 :D
-Social Proof
: ‘평점’, ‘리뷰’에 참여하고 참고하는 행위 =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참조하는 경향
- Bandwagon Effect
: 대중적인 경향에 따라가고자 하는 심리
(예) B2B 서비스 홍보 시 해당 서비스를 도입한 회사들 나열하기. 이용 중인 사용자 강조하기.
- Belonging and Likability
: 같은 목표/관심사 그룹에게 더 큰 영향을 받는 것
- Authority
: 설득의 원칙에 따라 사회적 지위를 가진 사람에게 영향을 받는 것